[TIL] 2025-01-17
2025-01-17 TIL
알고리즘 문제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할지 어려움을 조금 느껴 어떻게 알고리즘을 짜야할지 고민을 많이 한 문제입니다.
프로그래머스 최소직사각형
스파르타 내배캠 팀프로젝트
오늘은 해당 팀 프로젝트의 발표일이었습니다.
지난 1월 10일이 팀 프로젝트의 시작 날이었습니다.
밤 늦은 시간에 시작하게 되어서 프로젝트의 큰 구조만 각자 생각해서 조원들이 모이는 20일에 모여 어떻게 구현을 할것인지 구체화하기 위해 이야기해보기로 했습니다.
20일에 회의로 어떤 클래스와 어떤 기능을 구현할지 결정하고, 역할을 분담했습니다.
그 후 각자 개인 작업에 들어갔고, 중간중간 상시적으로 필요한 부분에 대한 회의를 진행했습니다.
각자 정해진 기능을 구현하고, 추가적으로 구현할 기능들에 대한 이야기도 나눴습니다.
저는 조장을 담당하게 됐고, 프로그램에서는 아이템과 상점을 담당해서 구현하기로 했습니다.
그 외에 기타 다른 모든 문서는 제가 작성했습니다.
기능에 대한 구현은 15일 수요일에 마무리가 됐지만 프로젝트의 README를 작성하고, README를 기반으로 발표 PPT를 제작했습니다.
발표 PPT를 만든다는게 생각보다 쉽지 않은 일이었습니다.
발표는 7분이라는 시간동안 발표를 해야했습니다.
시연 영상을 포함한 7분이었는데, 시연영상이 1분 30초 정도로 나머지 시간동안 7분을 넘기지 않고 발표를 해야했고, 해당 시간 안에 조에서 작업한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발표해야한다는 부담감이 좀 있었습니다.
혹시라도 7분이라는 시간을 넘겨서 준비한 발표를 다 못하면 어쩌나, 다들 고생했는데 누군가에게 보이지 못한다는 것은 아쉬운 일인데… 라는 걱정을 하며 발표를 계속해서 연습하고 또 연습했었습니다.
결과적으로는 발표 시간을 살짝 넘기기는 했지만 조원들도 다들 만족하며, 나름 성공적인 발표가 된 것 같아 마음은 조금 편합니다.
결과적으로 팀원간의 의사소통이나 추가적인 컨텐츠를 구현하는 것에 아쉬움이 좀 있습니다.
첫 회의 때 구현하기로 했던 부분에서 이미지를 그리는 드로우 기능의 경우를 제외한다면 크게 달라진 부분이 없기 때문에 아쉽다는 생각이 있습니다.
그 외에도 테스트 케이스를 문서화해서 기록해두고, 트러블 슈팅과 문제를 해결한 방법을 문서화해서 기록하는 것 도 더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문서를 작성해보는 경험과 책임을 지고 발표를 하는것에 좋은 경험이라는 생각이 있어 만족스러운 프로젝트입니다.
다음 영상은 제가 발표할 때 찍은 영상입니다.
해당 프로젝트에 대해 튜터 선생님들의 피드백은 다음과 같습니다.
피드백을 주신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체적으로 코드 퀄리티가 좋아 만족스러울 정도의 프로젝트가 나온 것 같습니다.
업데이트 루틴이 있다는 것 도 좋습니다.
디자인 패턴을 사용하고자 하는게 좋습니다.
상점에서 try-catch
를 사용한 것 도 좋았습니다.
주석 활용도가 좋습니다.
아트적인 부분도 잘 준비해주셨습니다.
폴더 구조를 정리한 부분도 좋았습니다.
리드미를 잘 작성해주었습니다.
아래 내용은 다른 조의 피드백입니다.
브렌치 기능 단위로 커밋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코드 컨벤션을 통한 일관된 코드를 작성한게 좋습니다.
풀 리퀘스트를 사용한게 좋지만, PR하고 직접 승락을 누르는거보단 다른 사람이 눌러주는 구조가 좋습니다.
깔끔한 리드미 작성 좋습니다.
json파일을 사용했는데, 해당 경험을 가지는건 좋아보인다.
회의록을 작성하고 사용해보는 경험 좋아보인다.
디자인 패턴을 다양하게 사용한 점이 좋습니다.
추가적으로 스파르타 내배캠에서 팀 프로젝트가 끝나고 KPT회고를 작성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내배캠 C++ 프로그래밍 팀 프로젝트 Text RPG KPT
해당 KPT를 통해 좋은점들과 아쉬웠던 점들을 팀원들과 공유할 수 있었고, 좀 더 유지하거나 개선하는 식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될 수 있는 회고였습니다.
추가로 첫 팀프로젝트를 마치면서 스파르타 내배캠에서 밍글데이를 가졌습니다.
다양한 미니게임도 하고 이런저런 사연을 통해 라디오도 하고 하는 시간을 가졌는데 개인적으로 힐링이 많이 되고 기분 좋은 활동이었습니다.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