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2025-02-14
2025-02-14 TIL
알고리즘 문제
문제의 난이도가 어렵지는 않았지만 코드를 잘 작성한 것 같지는 않아서 아쉽습니다.
프로그래머스 신고 결과 받기
수학
스파르타 내배캠에서 2월 11일에 함수에 관한 내용을 학습했는데, 내용을 정리하지 못했어서 정리하면서 복습해보았습니다.
아직 완벽하게 이해했다거나 외운건 아닌 것 같아서 주기적으로 복습을 좀 더 해야할 것 같습니다.
[수학] 삼각함수
상대적으로 삼각함수보다 이해하기 쉬웠던 것 같습니다.
[수학] 좌표계
스파르타 내배캠
오늘은 커리어데이로 취업과 학습에 어떤걸 준비하고, 생각할지 이야기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해당 커리어데이에서 학습한 내용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게임잼이라는 행사가 있고, 참여한다면 굉장히 좋은 경험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고 커뮤니케이션하고 성장하는 좋은 경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프로젝트 경험, 꾸준한 TIL, CS 기본 지식, 능숙한 말솜씨, 긴장하지 않는 태도, 다양한 스터디 경험을 가지면 좋다.
- 프로젝트를 하는 이유
- 실무에서 겪을 수 있는 문제 상황
- 예측이 어려운 문제에 직면하도록
- 팀 단위의 협업 과정을 경험
- 분업과 소통에서 발생하는 문제
- 실무에서 겪을 수 있는 문제 상황
- 왜 끊임없이 지식을 탐구해야하는가
- 아는게 많은 개발자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기초 지식이 탄탄한)
- 문제 상황을 바라보는 프레임 자체가 달라지기 때문에
- 문제를 다각도로 바라볼 수 있다면, 해결책 또한 다양해지기 때문에
- 문제에 대한 우선순위 결정
- 무엇을 가장 먼저 해결하고자 했는가
- 기술 구현 단계
- 무엇을, 어떻게
- 어떤 결과를 기대하며
- 기술적 의사결정
- 해당 기술은 어떤 장점을 가졌는가
- 무엇을 해결하고자/무엇을 이루고자 하는가
- 검증 과정에 대한 적합성
- 필요한 요소를 고려하여 개발했는가
- 트러블 슈팅
- 학습의 영역(단순 오류 개선)
- 오탈자/문법의 문제
- 무지/지식 부족의 문제
- 실무의 영역
- 기술적 의사결정의 문제
- 성능 개선의 문제
- 효율화의 문제
- 학습의 영역(단순 오류 개선)
회사에서 원하는 인재는 지식을 기반으로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에 대한 고민을 주도적으로 하는 사람.
일을 잘 할 것 같은 사람 = 문제를 잘 해결하는 사람
- Why 목적: 구현 이유 > 여러 상황 중에서, 왜 이것을 문제라고 생각했는가?
- How 과정: 목적을 당성하기 위한 구현 > 문제 해결을 위해 어떤 시도를 했는가?
- What 결과: 행동의 결과가 되는 성과 > 그래서 어떤 결과를 얻을 수 있었는가? (실패한 경우 왜 실패했는가를 포함)
프로젝트 과정에서의 모든 경험은 근거와 목적이 있어야한다.
공고를 잘 분석해야한다.
남들만큼 하는 노력은 노력이 아니다!
남들보다 더 열심히해야 노력이다!
- 소프트 스킬또한 중요하다.
- 설명을 잘하고, 잘듣는 것
- 말투가 차갑지 않은 것
- 항상 배우려는 자세
- 긍적적인 자세
- 해보겠다는 마인드
- 즉, 친절한 마음가짐과 겸손한 자세
해외 시장과 해외 취업에 관련된 내용
지금으로서는 해외 취업에 대한 관심은 없지만, 혹시 모를 나중을 위해서 집중해서 내용을 들었습니다.
전체적으로 시장에대한 이야기와 비자, 게임 회사들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