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2 TIL

알고리즘 문제

효율적으로 문제를 풀어내기 위해 알아보던 중 분할 상환 분석 알고리즘과 단조 스택이라는 개념을 알게되었는데, 스파르타 내배캠에서 새로운 개인 과제가 할당돼서 바빠졌기 떄문에 해당 개념에 대해서는 나중에 따로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처음에는 문제를 보고 스택을 활용하는 것이 유용하다는 점을 인지하지 못했는데, 문제를 분석하는 능력을 키울 필요가 있음을 느끼게되는 문제였습니다.
[프로그래머스][C++] 뒤에 있는 큰 수 찾기

스파르타 내배캠

지난 강의에서 빌더 패턴에 대해 학습했던 내용을 정리해보며, C#으로 작성된 예시를 C++로 작성해 복습했습니다.
개념이 어렵지는 않았고, 학습했던 내용에서는 헷갈리는 부분이 없어서 잘 이해한 것 같고, 학습했던 내용을 잊지 않도록 주의만 하면 될 것 같습니다.
[Design Pattern] 빌더 패턴

지금까지 학습했던 디자인 패턴을 활용해 RPG 게임의 주요 기능의 일부를 구현해 보았습니다.
디자인 패턴을 개별적으로 학습할 때는 크게 어려움이 없었지만, 한 프로젝트에서 여러 디자인 패턴을 조합하려다 보니 어떻게 적용할지 고민하는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언제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감을 익힐 수 있어 만족스럽습니다.
또한, 디자인 패턴을 적용하면 코드의 유지보수성이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지만, 클래스의 수가 많아지고 프로젝트 구조가 복잡하게 보일 수 있다는 단점을 직접 경험해볼 수 있었습니다.
다른 과제와 학습할 내용이 많아 몬스터와 실제 전투를 통해 HP가 변동되거나 아이템을 사용하는 로직까지는 구현하지 못했지만, 나중에 기회가 되면 이런 로직들까지 직접 구현해 보고싶습니다.
[C++ 프로그램] 디자인 패턴을 적용한 Text RPG
깃허브 레포지토리 링크

Date:     Updated:

카테고리:

태그:

TIL 카테고리 내 다른 글 보러가기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