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2025-03-21
2025-03-21 TILPermalink
알고리즘 문제Permalink
이번 문제는 너무 어려워서 결과적으로 답을 보고 풀이했습니다.
가장 처음에는 문제에서 쿼드트리라는 개념을 몰랐기 때문에 해당 내용을 검색해서 학습했습니다.
이후 쿼드트리 압축이라는 개념을 이해하고 나서는 문제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어떻게 해결해야할지 방법을 찾지 못했었습니다.
바로 C++ 정답을 살펴보는 것이 아닌 어떤 기법과 자료형을 사용해야할지부터 찾아보았습니다.
그래서 재귀 함수를 사용해 풀이해야한다는 것을 알아내어 다양하게 시도해보았습니다.
오랜 시간 시도했지만 해결하지 못했고, 추가적인 시간을 투자해도 직접 풀어내기는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 분석하는 능력과 2차원 배열과 재귀 함수를 응용해낼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다음에는 꼭 직접 풀이해낼 수 있도록 노력해야할 것 같습니다.
[프로그래머스][C++] 쿼드압축 후 개수 세기
언리얼 엔진 네트워크Permalink
리슨 서버와 데디케이트 서버 등 언리얼 엔진에서 지원하는 멀티플레이 구현에 대해 학습을 진행했습니다.
처음에는 정말 개념적으로 이해가 잘 안되고, 며칠동안 학습에 어려움을 겪던 내용들이었는데 계속 복습하고 추가적으로 학습해보면서 어느정도 이해가 되어가는 것 같습니다.
특히 리슨 서버는 서버이면서 클라이언트이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동작이 많이 발생해서 학습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데디케이트 서버는 아직 직접 코드를 작성해보고, 빌드해보면서 학습해보지는 못했지만 조만간 데디케이트 서버로도 학습해보고자 시도하려고 합니다.
리슨 서버와 데디케이트 서버에 대해 학습한 내용은 따로 다른 게시글에 정리해보았습니다.
[UE5] Listen/Dedicated Server
어제에 이어 언리얼 엔진에의 Replication과 RPC를 추가로 학습하고 있는데 내용이 방대하고 학습해야할 내용이 많아 아직 모두 학습하거나 정리해보지 못했습니다.
중요한 개념들은 주말 중으로 개념을 학습하면서 복습의 용도로 정리하려고 합니다.
학습하던 중 네트워크에서 대규모 데이터를 다룰 때 어떻게 최적화 할 수 있는지 학습 중입니다.
첫 번째로 FastArraySerializer를 학습했는데, 아직 직접 사용해보거나 응용해보지는 못해서 사용해볼 일이 생긴다면 꼭 복습하고 사용해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학습한 내용은 글을 따로 작성했습니다.
[UE5] FastArraySerializer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