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0 TIL

알고리즘 문제

문제는 이해해서 정리도 할 수 있었지만, 어떤 알고리즘으로 어떻게 풀어야할지가 고민이었습니다.
파티션이라는 개념으로 인해서 더 어렵게 느껴지는 문제였습니다.
결과적으로 완전탐색과 조건문으로 해결했는데, 다른 사람들은 BFS를 사용해서 효율적으로 풀어내었습니다.
완전 탐색으로 해결하다보니 알고리즘을 크게 학습하지 못했고, 나중에 시간이 난다면 BFS로 다시 풀어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프로그래머스][C++] 마법의 엘리베이터

대난투 프로젝트

오늘은 게임에서 캐릭터를 고르고 레벨이 이동됐을 때 UI가 리슨서버에서도 정상적으로 동작되도록 버그를 수정하고, 구조를 조금 수정해보았습니다.
전체적으로 복잡한 구조를 최적화하고 리팩토링하지는 못해서 아쉬움은 좀 있지만, 이 작업은 너무 시간이 오래걸리기 때문에 단순 욕심의 영역이 될 것 같아 건드리지 못할 것 같습니다.
남은 시간동안 최대한 다른 기능을 구현해보아야할 것 같고, 우선 승패 판정을 해주어서 누가 승리했고 누가 패배했는지를 보여줄 수 있도록 해야할 것 같습니다.

DFS

DFS라는 개념을 학습하고, 여러번 사용해보며 어느정도 이해하고 있었지만 글로 작성하면서 이해해보는 느낌은 색다른 것 같습니다.
직접 글로 작성해보면서 고민해보고, 생각을 통해서 한번 더 되세겨봄으로서 좋은 학습이 되었습니다.
학습한 내용을 시간이 지나서 까먹더라고 복습하기 좋게 작성해보았는데, 후에 복습하게 될 경우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Algorithm] 깊이 우선 탐색(Depth First Search)

이번에 DFS에 대해서 정리했으므로, 다음에는 BFS에 대해서 정리해보려 합니다.

자료구조

그래프, 트리에대한 강의를 수강했습니다.
이전에 학습한 내용이 주류였고, 복습한다는 생각으로 열심히 강의를 들었습니다.
확실히 강의로 복습하니 이해하기 좋았고 기억에도 좀 더 남는 것 같습니다.
오늘 수강한 강의도 추후에 블로그에 정리했던 내용을 보완하면서 다시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리더에 대한 생각

제가 최종 프로젝트에서 리더를 하고싶기 때문에 리더/부리더가 된다면 어떤 식으로 팀을 리딩하고 싶은지, 그리고 어떤 유형의 사람들과 시너지가 발생하는지 고민해보고 작성해보아야 하는 일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작성을 해보았습니다.

리더가 된다면,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계획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팀원들이 각자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적절한 작업을 분배하고 조율하겠습니다. 이를 위해 팀 전체의 목표와 작업 일정을 명확하게 설정하고, 팀원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면서 팀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함께 고민하고 제시할 수 있는 리더가 되고싶습니다.
이외에도 단순하게 팀을 이끌기보다는, 팀원 모두가 프로젝트를 통해서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고안해보고, 실천할 것입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팀 전체가 발전하고, 결과적으로 완성도 높은 프로젝트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믿습니다.
이러한 팀 문화를 위해서 소통이 잘 되는 유형의 사람들과 시너지가 높다고 생각합니다. 실력도 중요하지만, 활발한 소통을 통해 작업 상황을 공유하고, 서로의 지식을 나누며 함께 성장할 수 있는 협업 관계가 가장 이상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간추리자면, 리더로서 중요한 것은 프로젝트를 위해 일정을 관리하고 지식을 공유하는 등 팀의 전체적인 실력을 끌어올릴 수 있어야 할 것 같고, 이를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소통이라고 생각합니다.
리더라는 직책이 굉장히 책임감을 가지고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것을 노력해야하기 때문에 부담이 되기도 하지만 주어진 기회를 놓치고싶지 않다는 생각이 있기 때문에 이번 최종 프로젝트에서 리더를 희망하게 되었습니다.
다음 최종 프로젝트에서는 꼭 리더로서 완성도 높은 프로젝트를 제작하고 싶습니다.

Date:     Updated:

카테고리:

태그:

TIL 카테고리 내 다른 글 보러가기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