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30 TIL

최종 프로젝트

최종 프로젝트 발표

오늘은 최종 프로젝트에 대해 어떤 컨텐츠를 구현했고, 어떤 기술들을 사용했는지 발표하는 시간이 있었습니다.

이전까지의 발표와는 다르게 외부인 분들도 계셨는데, 평소에 꾸준히 발표를 하다보니 너무 긴장하지는 않고 잘 해낸 것 같습니다.

발표에 대한 피드백으로는 전체적으로 브로셔와 발표 ppt가 잘 작성돼서 좋고, 추가적인 내용이 좋을 것 같다는 것이었습니다.
추가적인 내용은 어떤 기능을 구현할 때, 어떤 요구사항이 있었고, 그 기능을 왜 구현했는지, 구현 중에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가 좀 더 스토리텔링이 되면 좋겠다는 것이었습니다.

브로셔에서는 이 것과 관련된 내용을 작성했었는데 발표 PPT에서는 이 부분에 대해 제대로 어필하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그래도 발표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잘 작성됐고 구성이 좋다는 피드백을 받아서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 작업을 하게되면 피드백 받는 부분을 좀 더 신경써서 프로젝트들을 진행해보는게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앞으로의 계획

최종 프로젝트가 끝났고, 현재 수강 중인 스파르타 내일배움캠프가 곧 끝나기 때문에 앞으로 어떤 활동을 할건지 구체적인 계획이 필요해졌습니다.

우선 현재 최종 프로젝트가 커리큘럼 상에서는 끝났지만 좀 더 작업을 해보고자 합니다.

추가로 해보고자하는 것은 스팀에 출시를 하기 위해 스팀에 연동을 하는 것이고, 유저 테스트를 받아보고 추가적인 개선을 하는 것입니다.

이외에는 이력서와 자기소개서를 본격적으로 작성할 것이고, 앞으로는 개인적인 프로젝트 또한 작업해보고싶기 때문에 개인적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FGT

기존 최종 프로젝트에서 유저 테스트라는 것을 진행할 것인데, 이 유저 테스트에 대해 좀 더 정보를 알아보고 정리해보았습니다.

유저 테스트라는 단어는 소규모일 경우 실무에서 FGT라고 불린다.
FGT는 Focus Group Test(포커스 그룹 테스트)로 소규모로, 특정 게임 콘텐츠에 대해 집중적인 테스트를 진행해 유저의 의견과 반을을 중심으로 평가한다는 것이었습니다.

FGT처럼 테스트에 목적을 정확하게 부여할 필요가 있을 것 같고, 목적에 따라 응답 설문을 정확하게 준비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테스트를 진행하게되면 일반적으로 긍정적이게 작성해주므로, 평가가 좋게 나와도 주의해야한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긍정적인 평가가 70%일 경우 조금 낮게 생각해보는 것이 좋다는 의미입니다.

이런 것들을 고려해서 유저들이 게임을 진행해보고, 피드백을 받아볼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Date:     Updated:

카테고리:

태그:

TIL 카테고리 내 다른 글 보러가기

댓글남기기